Main content

Contributors:

Date created: | Last Updated:

: DOI | ARK

Creating DOI. Please wait...

Create DOI

Category: Project

Description: [Korean Abstract] 이 글에서 우리는 20세기 이전 조선시대에 왜 토양매개성 기생충 감염률이 그처럼 높게 유지될 수 밖에 없었는가 하는 사회적 배경을 살펴볼 수 있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동아시아 기생충 감염률은 최근까지도 매우 높았는데 그 이유중 하나로 인분비료의 사용을 지적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매우 타당한 추측이지만 이를 단순히 위생상태의 저열함의 결과로만 이해 할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며 당시 많은 도시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농업생산을 지탱하기 위한 불가피한 측면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인분비료 사용은 농업생산력 제고의 측면에서 긍정적 측면이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에게 있어 토양 매개성 기생충의 감염은 상대적으로 감수해야 할 작은 부작용에 불과한 것이었을 수도 있다. [Acknowledgements] 이 원고는 농업박물관 대중 강연을 위해 아래와 같은 필자의 선행 논문에 바탕을 두고 작성되었음. 기호철, 배재훈, 신동훈. 『조선후기 한양 도성 내 토양매개성 기생충 감염 원인에 대한 역사 문헌학적 고찰』 의사학 제22권 제1호(통권 제43호) 89-132 및 Myeung Ju Kim, Ho Chul Ki, Shiduck Kim, Jong Yil Chai, Min Seo, Chang Seok Oh and Dong Hoon Shin. Parasitic infection patterns as correlated with urban-rural recycling of night soils in Kore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Korean Studies (submitted). 원고의 내용에 포함된 우리나라 인분 리사이클링 실태에 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는 한국고전번역원 기호철 선생의 도움을 받았으며 일본의 해당 연구 업적에 대한 검토는 서울대학교 김시덕 선생의 협조가 있었음을 밝혀둔다.

Files

Loading files...

Citation

Recent Activity

Loading logs...

OSF does not support the use of Internet Explorer. For optimal performance, please switch to another browser.
Accept
This website relies on cookies to help provide a better user experience. By clicking Accept or continuing to use the site, you agree. For more information, see our Privacy Policy and information on cookie use.
Accept
×

Start managing your projects on the OSF today.

Free and easy to use, the Open Science Framework supports the entire research lifecycle: planning, execution, reporting, archiving, and discovery.